커뮤니티

미얀마 쿠데타 발발 1주년(2.1) 계기 공동성명 발표!!

컨텐츠 정보

본문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미얀마 쿠데타 발발 1주년 계기,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연합(EU), 노르웨이, 스위스, 알바니아와 함께 미얀마 내 인도적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 촉구하는 공동성명 2.1(화) 발표.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미얀마 쿠데타 발발 1주년 계기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유럽연합(EU), 노르웨이, 스위스, 알바니아와 함께 미얀마 내 인도적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2.1(화) 발표하였다.

 

p1065589700617686_757_thum.jpg
▲ BBC 캡쳐


우리 정부는 아시아 민주주의의 선도 국가로서 사태 초기부터 미얀마의 민주주의 회복과 인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표명해 왔으며, 앞으로도 미얀마 사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계속 긴밀히 공조해 나갈 것이다. 


미얀마 쿠데타 발발 1주년 계기 발표한 이번 성명은 미얀마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 및 관여 의지를 발신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얀마 쿠데타 발발 후 1년간 미얀마 내 인도적·경제적·민주적 상황 악화 및 국내 교전 확산 등으로 미얀마 국민들은 극심한 고통을 받았으며, 군부는 미얀마 및 역내 평화와 안정을 심대하게 저해g하고, 폭력 즉각 중단 및 평화적 사태 해결을 위한 모든 당사자 간 건설적 대화 개시 촉구하였다.

미얀마 군부 정권의 △국가비상사태 종료, △제약 없는 인도적 접근 허용, △외국인 포함 자의적 구금자 석방, △민주적 절차로의 조속한 복귀 재차 촉구한다.

쿠데타로 인한 희생자 추모 및 미얀마 군부의 로힝자족 포함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 유린·침해 규탄하며, 쿠데타 발발 이래 발생한 40만 명 이상의 피난민에 대한 심각한 우려 표명 및 취약계층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을 위한 "미얀마 군부의 조속하고 완전한 인도적 접근 제공" 을 촉구한다.

다수의 자의적 구금자, 아웅산 수찌 국가고문 및 여타 정치적 구금자의 징역 선고에 대한 심각한 우려 표명하며, 국제사회의 △인권 유린·침해 책임자 규명, △미얀마 군부 대상 무기, 전략물자, 이중사용 장비의 판매와 이전, 기술지원 중단, △인도적 지원 지속 제공 촉구한다.

아세안 5개 합의사항 및 아세안 의장 특사의 노력 지지 및 유엔 사무총장 미얀마 특사의 활동 환영하며, 미얀마 군부 정권이 아세안 의장 특사의 민주진영 포함 모든 당사자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고 유엔 사무총장 미얀마 특사와 건설적으로 관여할 것을 촉구한다.


Joint statement on the situation in Myanmar

A joint statement by the High Representative on behalf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Foreign Ministers of Albania, Australia, Canada, New Zealand, Norway, Republic of Korea, Switzerland,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on the one year anniversary of the military coup in Myanmar.
On 1 February 2021, the military seized power in Myanmar, denying the democratic aspirations of Myanmar’s people. One year later, the devastating impact on the people of Myanmar is clear. Over 14 million people are in humanitarian need, the economy is in crisis, democratic gains have been reversed, and conflict is spreading across the country. The military regime bears responsibility for this crisis, which has gravely undermined peace and stability in Myanmar and the region. We once again call for the immediate cessation of violence and for constructive dialogue among all parties to resolve the crisis peacefully. We reiterate our call on the military regime to immediately end the State of Emergency, allow unhindered humanitarian access, release all arbitrarily detained persons, including foreigners, and swiftly return the country to the democratic process.

On the anniversary of the coup, we remember those who have lost their lives over the past year, including women, children, humanitarian personnel, human rights defenders, and peaceful protesters. We strongly condemn the military regime’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abus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against Rohingya and other ethnic and religious minorities. We express grave concern at the credible reports of torture and sexual and gender-based violence. We express serious concern over the more than 400,000 additional people who have fled their homes since the coup. We also express grave concern at the deepening humanitarian crisis across the country and urge the military regime to provide rapid, full, and unhindered humanitarian access to vulnerable populations, including for the purposes of vaccination against COVID-19. We express grave concern over the large number of persons arbitrarily detained and the sentencing of State Counsellor Aung San Suu Kyi and other political detainees.

We call on all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upport efforts to promote justice for the people of Myanmar; to hold those responsible for human rights violations and abuses accountable; to cease the sale and transfer of arms, materiel, dual-use equipment, and technical assistance to the military and its representatives; and to continue supporting the people of Myanmar in meeting urgent humanitarian needs.

We emphasise our support for the ASEAN Five-Point Consensus and the efforts of the ASEAN Special Envoy to support a peaceful resolution in the interests of the people of Myanmar. We call on the military regime to engage meaningfully with ASEAN’s efforts to pursue full and urgent implementation of the Five-Point Consensus, which includes ensuring that the ASEAN Special Envoy has access to all parties in Myanmar, including pro-democracy groups. We also welcome the work of the UN Special Envoy of the Secretary-General on Myanmar and urge the military regime to engage constructively with her.

[저작권자ⓒ 시사타파(SISATAPA 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415 / 5 Page
번호
제목
이름